전문상담 자료/전문상담

진로상담 이론

지리사랑 2009. 12. 10. 14:12

Parsons의 특성요인 이론은 개인의 이해, 직업세계의 이해 그리고 이들 정보에 기초한 합리적인 선택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 진로지도 모형을 제시하였다.


Roe의 욕구이론은 성격과 직업분류를 통합한 방식으로 직업을 분류하는 모델(8*6)을 제시하였으며, 개인의 직업군의 선택은 부모-자녀의 관계 속에서 형성된 개인의 욕구구조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보고 있다.


Holland의 이론은 유형론에 초점을 둔 RIASEC이라는 육각형 모형을 통해 성공적인 진로결정을 위한 효과적 이고 체계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Holland는 개인의 행동을 그 사람의 성격(인성)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으로 보고 자신이 가지고 있는 성격(인성)적 특성의 표출을 허용하는 직무환경을 택할 것을 주장한다.


Kromboltz의 사회학습이론은 행동과 인지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개인의 진로의사결정 방법에 관한 이론으로 진로결정요인으로 유전적 요인, 환경적 조건과 사건들, 학습경험, 과제접근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진로 결정은 학습된 기술이다고 하였다.


Dwwis와 Lofquist의 직업적응이론은 개인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개인-환경 조화상담’으로 개인의 특성을 상술하고 그것을 직업의 요구사항, 강화요인들과 조화시키는데 강조점을 두고 직업에 대한 적응을 예언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Ginzberg의 발달이론은 직업선택을 하나의 발달과정으로 비가역적이라 하였다.


Blau의 사회학적 이론은 가정, 학교, 지역사회 등의 사회적 요인이 직업선택과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이다.


Super의 이론은 직업성숙과정을 가장 체계적으로 기술하였다. 진로발달은 인간의 전 생애에 걸쳐서 이루어지고 변화(성장기→탐색기→확립기→유지기→쇠퇴기)되는 것이라고 하였으며, 직업선택을 타협과 선택이 상호 작용하는 일련의 적응과정으로 보고, 발달을 개인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한 적응과정이라고 하였다. 자아개념은 super이론의 기저로 인간은 자아이미지와 일치하는 직업을 선택한다.


Tiedeman 과 O'Hara에 의하면 직업발달이란 직업 자아정체감을 형성해 나가는 계속적 과정이라고 한다. 직업정체감이란 개인이 자신의 제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자신의 자아를 실현시킬 있는 일이 과연 무엇인가에 대한 자기 나름대로의 인식 또는 생각을 말한다. 직업발달단계는 의사결정과정을 통해서 직업의식이 발달한다는 입장이다.


Linda Gottfredson의 직업포부 발달이론은 사람이 어떻게 특정 직업에 매력을 느끼게 되는가를 기술하였는데, 사람들은 자아 이미지에 알맞은 직업을 원하기 때문에 직업발발에 있어 자아개념은 진로선택의 중요한 요인이라 하였다.

  직업적 선호의 주요결정 요인은 자아개념이 발달하면서 설정되는 포부에 대한 한계이다.


최근 이론의 경향

 1)인지적 정보처리 이론

    ○Peterson, Sampson, Reardon에 의해서 개발

    ○개인이 어떻게 진로결정을 내리고 진로문제해결과 의사결정을 할 때 어떻게 정보를 이용하는지의 측면에서 인지적 정보처리 이론을 진로발달에 적용

   2)가치중심적 진로접근 모델:Brown(1996)제안

    ○인간행동이 개인의 가치에 의해 상당 부분 영향을 받는다는 가정에서 출발

    ○가치들은 개인이 원하는 목표설정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가장 중요

  3)자기 효능감 이론

   ○성차를 설명한 이론 : Hackett와 Betz

     -Bandura; 심리적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사고와 심상 포함→높은 효능감을 가진 사람들은 수행을 긍정적으로 이끔

     -Hackett와 Betz; 저수준의 효능감을 지닌 여성은 진로이동뿐만 아니라 진로선택에 있어서도 제약을 받는다

  4)사회인지적 진로이론

    ○인지적과정과 자기규정 과정 그리고 동기과정을 생애의 현상에 혼합한 이론

    ○Lent, Brown, Hackett⇒기존의 이론들과 새로운 이론들이 공유하는 지식을 연계

    

'전문상담 자료 > 전문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상 심리의 정의  (0) 2010.04.05
불안 장애  (0) 2009.12.16
한국표준직업 분류  (0) 2009.12.08
Holland 유형 이론  (0) 2009.11.27
영화 '뷰티플 마인드'속의 정신분열증  (0) 2009.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