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lland는 정형화된 유형들을 연구하고 다듬어서 사람과 직업환경을 특별한 범주들로 분류→직업흥미검사(VPI), 진로탐색검사(SDS)
→적성과 흥미측정으로 개인의 성격 평가
*Holland는 모든 직업을 6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내담자들이 모든 직업을 개념화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쉬운 준거 틀을 제공→ 상담과정에서 직업 정보를 통합하는데 도움을 주시 때문에 내담자들에 특히 유용하다.
○이론의 배경 : 직업적 흥미는 일반적으로 성격이라고 불리는 것, 개인의 직업적 흥미에 대한 설명은 곧 개인의 성격에 대한 설명이다.
○이론의 내용 : 유형론에 초점 : 6가지 성격유형
첫째, 대부분의 사람들은 여섯 가지 유형 중의 하나로 분류될 수 있다. 실제적(Realistic), 탐구적(Investigative), 예술적(Artistic), 사회적(Social), 기업적(Enterprising), 관습적(Conventional)`, 머릿글자 RIASEC는 여섯 가지 유형의 이름과 순서를 기억하는데 도움을 준다.
둘째, 여섯 가지 종류의 환경이 있다. 환경에도 ‘실제적, 탐구적, 예술적, 사회적, 기업적(진취적), 관습적’ 인 여섯 가지 종류가 있으며, 대부분 각 환경에는 그 성격유형에 일치하는 사람들이 머물고 있다.
셋째, 사람들은 자신의 능력과 기술을 발휘하고 태도와 가치를 표현하고 자신에게 맞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찾는다.
넷째, 개인의 행동은 성격과 환경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결정된다.
○6가지 유형 : 사람이 6가지 유형 중의 하나에 속하는 것으로 특징
-유형의 결합; 한 가지 코드만으로 설명할 수 있는 환경이 없는 것처럼 어떤 사람에세 적합한 오직 한가지 Holland심리 유형은 드물다.
-하위유형 : 아주 우세한 유형 세 개를 기초로 전개-3개 코드
앞유형이 상위 순
-개인이 환경을 다루기 위한 다양한 범주의 전략을 알 수 있게 해 주기 때문에 유용하다.-검사결과 각 유형의 점수가 모두 낮으면 별도의 상담 필요, 정반대의 코드가 지나치게 높으면 상담
-진로상담의 주요 목적은 내담자에 적합한 환경을 찾도록 도와주는 것
'전문상담 자료 > 전문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로상담 이론 (0) | 2009.12.10 |
---|---|
한국표준직업 분류 (0) | 2009.12.08 |
영화 '뷰티플 마인드'속의 정신분열증 (0) | 2009.11.10 |
행동형성법, 행동연쇄법, 용암법 (0) | 2009.10.27 |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0) | 2009.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