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상담 자료/전문상담

융의 분석 심리학

지리사랑 2008. 7. 9. 15:09
 

*나의 인생은 무의식의 자기실현에 대한 이야기이다.

 -무의식에 있는 모든 것은 표현되려고 노력한다.

 -성격은 무의식의 조건에서 발현되기를 갈망한다.

● 프로이트와 융의 무의식관에 대한 견해비교

 -프로이트의 무의식 개념을 확장하여 자신의 체계적 이론 형성, 정신적 소인 강조

 ○ 프로이트와 융의 공통점 - 무의식의 존재에 대한 인정

프로이트와 융은 인간의 정신이나 마음속에 무의식이 존재하고 있고, 이런 무의식이 인간의 정신생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아울러 무의식에 대한 발견을 통해 인간의 성숙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 프로이트와 융의 차이점 - 무의식의 내용과 그 기능-집단무의식을 다르게 강조

프로이트

리비도-생물학적 성적 에너지

리비도를 성뿐만 아니라 다른 삶의 에너지를 포함한 정신에너지로 봄

성격-과거의 사건이나 과정들에 의해 결정-결정론적 견해

성격은 후천적으로 변할 수 있고, 과거뿐만 아니라 미래에 무엇을 하기를 열망하는가에 의해 결정-미래의 목표

무의식-자각수준에 초점

인류의 정신문화의 발달에 초점을 두고 집단무의식 개념 도입-집단무의식을 중심으로 분석심리학 확립

 *융은 역사룰 통해 전해 내려온 인류의 상징과 신화를 평가


1.칼 구스타프 융의 생애와 사상

 -여동생 하나를 둔 장남 외아들, 목사인 부친, 모친은 정서장애와 우울증, 자연에 대한 애착과 죽음에 대한 익숙함

 -무의식의 심리학(The Psychology of the Unconscious)(1912) - "리비도의 변환과 상징”)을 저술하면서 프로이트와 불화

 - 인간의 삶에 있어 신화(myth)가 지닌 가치에 큰 흥미를 느낀 융은 1920년대 아프리카, 남미의 뉴멕시코 등으로 여행을 떠났고, 그곳에서 문맹의 원주민들이 지닌 정신과정과 집단무의식(collective unconscious)에 대해 연구하였다

2. 주요 개념

 가. 정신의 구조

    -전체적 성격을 정신으로 봄→인간은 전체적 성격을 갖고 태어났으며 일생을 통해 이러한 타고난 전체성을 분화하고 통합해 간다.

    -정신(Psyche)의 수준을 의식(Conscious)과 무의식(Unconscious)으로 구분

    -무의식 :개인 무의식(Personal Unconscious),집단 무의식(Collective Unconscious)

   1)의식;자아(ego) 에 의해 지배

    ○자아를 통해 자신을 외부에 표현하고 외부 현실을 인식한다.

    ○의식과 관련하여 중요한 내용인 태도와 기능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첫째,태도는 의식의 주인인 자아가 갖는 정신적 에너지의 방향이다.

           -외향성;의식을 외적세계 및 타인에게 향하게 하는 능동적성격태도

         -내향성; 의식을 자신의 내적 주관적 세계로 향하게 하는 성격태도

         -인간은 두가지 성격태도를 모두 가지고 있으며, 둘 중 어느 태도가 지배적이냐에 따라 태도가 결정된다고 봄

▶ 외향적태도(E)

 외향적 태도를 가진 사람은 관심을 외부세계의 사람이나 사물에다 쏟는다. 이런 사람은 환경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외부세계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자신의 영향력을 증대하고 싶어한다. 즉 그들은 부단히 외부환경의 자극을 찾아 나서고 행동지향적이고 때로는 충동적으로 사람을 만나며, 솔직하고, 말하기를 좋아하고, 사교성이 많다. 많은 사람을 사귀려 하고, 다양한 방면에 관심이 많으며 일단 경험한 다음에 생각하며,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어 말로 표현한다.

▶ 내향적태도(I)

 내향적 태도를 가진 사람은 외부세계에서 벗어나 자기 자신안으로 몰입한다. 내향성이 주로 관심을 쏟는 것은 자기내부의 개념과 관념이다. 즉 마음 속의 개념과 관념을 분명히 하는데 관심을 기울이고, 일시적인 외부사건보다는 지속적인 개념을 신뢰하며, 사려깊고 주위와 떨어져 생각에 잠기기를 좋아하고, 고독과 사생활을 즐기며 수줍음이 많다. 소수를 깊게 사귀고, 신중하게 생각한 다음에 경험하고, 간직하려하며, 글로 표현하기를 좋아한다.

       둘째, 의식의 기능은 주관적 세계와 외부 세계를 지각하고 이해하는 서로 다른 방식을 의미한다. →정신적 기능의 구성요소; 사고, 감정, 감각, 직관

         -합리적 차원; 판단형(사고Tinking - 감정feeling)

         -비합리적 차원; 인식형(감각 sensing - 직관intuition)

         -어느 것을 우선적으로 사용하는가에 따라 기본적인 성격이 달라짐→심리적 태도와 기능을 조합하여 8가지 심리적 유형이 결정→MBTI

         

 2)개인무의식 (the personal unconscious)

  ○의식에 인접해 있는 부분으로 쉽게 의식화될 수 있는 망각된 경험이나 감각경험으로 구성

  ○프로이트의 전의식과 유사하지만, 무의식까지 포함한 개념

  ○의식되었지만 내용이 중요하지 않거나 고통스러운 것이기 때문에 망각되었거나 억제된 자료의 저장소이다.

  ○너무 약하기 때문에 의식에 도달할 수 없거나 또는 의식에 머물 수 없는 경험은 모두 개인무의식에 저장된다.

  3) 집단 무의식은 우리가 경험한 것이 아니라. 조상적부터 내려오던 무의식이다.

   ○역사와 문화를 통해 공유해 온 모든 정신적 자료의 저장소

   ○인간의 정신적 소인이 유전→우리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정신적 소인, 즉 원형으로 구성

   ○인류 역사의 산물인 신화, 민속, 예술 등이 지니고 있는 영원한 주제의 현시를 통해 간접적으로 관찰될 수 있다.

   ○집단적 무의식을 의식으로 인식하는 것이 자기실현 과정이다.

    

 

나. 원형: 집단무의식을 구성하고 있는 인류역사를 통해 물려받은 정신적 소인

  ○원형은 형태를 가진 이미지 혹은 심상이지 내용은 아니다.

     -상징은 원형의 내용이며 원형의 외적 표현이다.

     -원형은 꿈, 신화, 동화, 예술 등에서 나타나는 상징을 통해서만 표현된다.

     -원형은 인간이 갖는 보편적, 집단적, 선험적인 심상들로 성격의 구성요소이다.

  ○대표적인 원형: 페르조나, 아니마와 아니무스, 그림자, 자기

  ○페르조나(persona, 가면) :고대 그리이스의 연극에서 배우들이 쓰던 가면

    - 환경의 요구에 조화를 이루려고 하는 적응의 원형

    - 사회에서 가정하는 자신의 역할을 의미, 개인이 사회적요구들에 대한 반응으로서 밖으로 내놓은 공적 얼굴이다.

  -겉으로 표현된 페르조나와 내면의 자기가 너무 불일치하면 표리부동한 이중적인 성격으로 사회적 적응에 곤란을 겪게 된다.

  -페르조나는 집단정신의 한 단면으로서 특정문화가 그 문화구성원들에게 요구하는 규범, 도리 등을 의미함(집단적으로 주입된 가치관).

    ex)여자로서의 도리, 학생의 본분, 국민된 도리 등 누구의 아들, 누구의 아내, 누구의 아버지, 어디 출신, 무슨 직위, 무슨 대학출신 등 

 ○아니마(anima, 남성 내부의 여성성)와 아니무스(animus, 여성 내부의 남성성)

  -인간이 태어날 때 본질적으로 양성을 가지고 태어났다는 양성론적 입장

  -남성성의 속성은 이성(logos), 여성성의 속성은 사랑(eros)

  -성숙된 인간이 되기 위해서는 이성을 이해하고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니마: 남성이 지닌 무의식적 여성성으로서 인류역사속에서 남성이 여성에 대해 경험한 모든 심리적 내용(주로 감성으로 나타남 - 페이소스(pathos)

   *미분화상태 : power→행동적→word→meaning

  -아니무스: 여성이 지닌 무의식적 남성성으로서 인류역사속에서 여성이 남성에 대해 경험한 모든 심리적 내용(주로 이성으로 나타남 - 로고스(logos))

 *미분화상태 ; 본능적→심미적→정신적 사랑→지혜

 ○그림자 (새도우 shadow)

   -인간의 어둡거나 사악한 측면을 나타내는 원형

   -의식에서 억압되어 어두운 무의식에 있는 자료 및 인간의 원초적인 동물적 욕망에 기여하는 원형이다.

   -인간의 양면성, 밝고 긍정적인 면과 어둡고 부정적인 면을 반영한 원형→어떤 면에서는 생명력, 자발성, 창조성의 원천이 되기도 하여 이로움을 주기도 한다.

   -상담 및 심리치료에서 가장 장애가 되는 원형→상담자는 이러한 부정적인 측면을 내담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돕는게 필요

   -ex)도덕적 결백을 주장하는 사람의 성적 금전적 스캔들 등(지킬박사와 하이드)

 ○자기(self, 셀프)

   -모든 의식과 무의식의 주인

   -전체로서 인간 성격의 조화와 통합을 위해 노력하는 원형

   -의식과 무의식의 양극성 사이의 평형점 →다른 정신체계가 충분히 발달할때까지 나타나지 않는다.

   -자기는 인생의 가장 결정적인 변화의 시기인 중년의 시기에 나타난다.


다. 정신에너지

  -리비도는 전반적인 ‘인생과정의 에너지’

  -정신에너지가 기능하는 세가지 원리: 대립, 등가, 균형

 ○대립원리: 신체에너지 내의 반대되는 힘이 대립 혹은 양극성으로 존재하여 갈등을 야기하며 이러한 정신에너지를 생성하는데 필요하다고 봄→정신에너지는 힘들간의 갈등의 결과→ 갈등이 없으면 에너지가 없으며 인생도 없다고 봄

   -대립 혹은 양극성의 갈등이 모든 행동의 일차적 동인이며 모든 에너지를 창조한다.→양극성들 간에 갈등이 커질수록 에너지는 더 많이 생성된다.

 ○등가원리

  -물리학의 열역학법칙인 에너지 보존의 원리를 정신적 기능에 적용

  -어떤 조건을 생성하는데 사용된 에너지는 상실되지 않고 성격의 다른 부분으로 전환되어 성격 내에서 에너지의 계속되는 재분배가 이루어진다는 것

  -예, 어떤 특별한 영역에서 정신가치가 약해지거나 사라지면 그 에너지는 정신 내의 다른 영역으로 전환 →당구에 대한 관심 상실하면, 새로운 취미인 골프에

  -깨어있는 동안에 의식활동을 위해 사용된 정신에너지는 잠자는 동안에는 꿈으로 전환된다.

 ○균형원리

  -열역학원리를 정신에너지에 적용하여 성격 내에 균형 혹은 평형에 대한 경향성이 있다는 것

  -만약, 두가지 욕망이 정신에서 크게 다르다면 에너지는 보다 강한 욕망에서 약한 욕망으로 흐를 것이다.

  -이상적으로는 정신에너지가 동등한 분배가 이루어질 수 없다.→완전한 균형이 달성되면, 성격은 전혀 정신에너지를 갖지 못할 것이다.


3, 성격발달

 ○성격발달은 자기를 실현하는 과정이다.

 ○인생전반기에는 자기의 방향이 외부로 지향되어 분화된 자기를 통해 현실 속에서 자기를 찾으려고 노력→40세 중년기를 전환점으로 인생 후반기에는 자기의 방향이 내부로 지향되어 자아는 다시 자기에 통합되면서 성격발달이 이루어진다.

 ○개성화(individuation) ; 분화와 통합을 통해 자기가 발달하는 과정

 인간이다.

4. 성격 평가 기법

 ○분석심리학자들이 사용하는 평가기법은 객관적 검사, 추사검사, 꿈분석 등 다양

 ○표준화된 성격검사를 사용하지 않았지만 다양한 방법 사용

 ○단어연상검사, 증상분석, 사례사, 꿈분석

 ○성격유형검사 MBTI

 가. 단어연상 검사: 투사기법, 생리적 반응 측정, 실험적 및 임상적 도구로 적용

 나. 증상분석 ; 환자가 보고하는 증상에 초점, 증상에 대한 자유연상, 프로이트의 정화방법과 유사,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도움

 다. 사례사 ; 심리적 장애의 발달사를 추적하는데 사용, 생애사 재구성

 라. 꿈분석; 분석심리학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 꿈이 무의식에 이르는 왕도(꿈은 미래를 예견, 보상적), 꿈의 해석-확충법 *동시성-꿈에 일어난 사건이 외부세계에서 동시에 일어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된 개념

 마.MBTI; 4가지 차원을 조합하여 16가지 성격유형으로 나타냄

   (1)비합리적 기능; 인식형 - 직관(iNtuition)과 감각(Sensation)

   ▶ 직관적 인식(iNtuition) - 이상지향적, 나무보다 숲을 강조

   ▶ 감각적 인식(Sensation) - 현실지향적, 숲보다 나무를 강조

  (2)합리적 기능; 판단형 - 사고(Thinking)와 감정(Feeling)

    ▶ 사고적 판단(Thinking) - 보편적 원리에 근거한 맞다-틀리다 옳다-그르다 식의 판단을 강조

    ▶ 감정적 판단(Feeling) - 상대적 원리를 강조하며, 좋다-싫다 등을 통해 판단, 조화의 강조

  (3)인식(Perceiving, 이해)과 판단(Judgement) 기능

   - 융은 원래 자신의 심리유형론에서 언급하지 않은 기능으로서 뒤에 MBTI검사를 제작한 Myers와 Briggs가 추가한 정신기능으로 외부세계에서의 행동방식을 나타낸다.

  ▶ 인식적 태도(Perceiving) - 행동과 결정보다는 관조와 기다림을 중시

  ▶ 판단적 태도(Judgement) - 관조와 기다림보다는 결정과 행동을 중시


5.성격 이론의 적용

 ○신경증이란 자기실현을 향한 개인의 성장이 멈춘 심각한 질환이라고 믿음

 ○생애 후반기 심리학- 중년의 문제를 다루는데 많은 노력

 ○치료과정 : 고백. 명료화, 교육, 변형 단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