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사진 자료/지역 사진

다랑쉬 오름

지리사랑 2021. 11. 21. 10:26

제주도는 유네스코 지정 세계자연유산지구이자 세계지질공원이다.

한라산은 제주도의 상징으로 화산활동 초기에는 유동성이 큰 현무암질 용암이 분출하여 전체적으로는 완만한 순상화산체를 이루었고, 그후에는 유동이 작은 조면암, 안산암질 용암이 분출하여 정상부는 경사가 급한 종상화산을 이룬 복합화산이다.

2021년 11월 9일 한라산에 첫눈이 내려, 방문한 11월 19일에도 눈이 쌓여 있다.

높은 봉우리라는 뜻의 다랑쉬오름( 해발고도 382m,구좌읍 세화리 산6번지 위치); 초입의 계단 급경사가 조금 힘들지만 돌아내려오는데 약2시간 소요되는 트레킹 코스로 주변 전망이 좋아 많이 찾는 곳이다.

제주도의 오름은 신생대 제3기에서 4기에 걸쳐 이루어진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는데 약 368개가 있다. 오름의 어원은 자그마한 산을 말하는 제주도 방언으로서 (분)화구를 갖고 있고, 내용물이 화산쇄설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화산구의 형태를 갖추고 있는 것을 일컫고 있다. 기생화산, 측화산이라고도 한다.
성과정에서 마그마가 분출되는 환경이 수중환경에서 육상 환경으로 변화하면서 크고 작은, 그러면서도 화산체의 구성물질과 형태가 각각 다른 2개의 화구가 겹쳐서 나타나는 기생화산, 즉 2중식회산도 제주도의 오름에서 찾아볼 수 있어, 이들의 독특하고 색다른 지형경관은 제주의 식생과 어우러져 빼어난 경관미를 자랑한다.  또한 기생화산으로서의 제주의 오름은 개체수가 많을 뿐 아니라 그 생성과정과 형태적 특성을 각각 달리하고 있어 화산지형학적 관점에서도 세계적인 화산의 보고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주의 오름은 화산지형학적으로 중요할 뿐 아니라 역사적, 문화적, 자연경관적으로 보아 중요한 관광 자원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다랑다랑쉬 오름의 주변 오름 군락은 장관이다. 저 멀리 우뚝 솟은 한라산 앞으로 군데군데 늘어선 오름들이 한라산의 품에 안긴 자식들처럼 보인다. 다른 쪽으로는 성산 일출봉과 우도와 제주 바다까지 보인다. 방문 당일은 흐려서 안타갑게 희미있게 보인다.

 

주변의 오름: 용눈이 오름, 동거미오름, 손지오름

 

깊이 115m로 깊게 파인 분화구
제주 성산의 홍달한이 숙종의 죽음을 슬퍼하였다는 망곡의 자리
능선의 억새, 제주의 오름은 제주도민들의 삶과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왔다. 마을 주변에 있는 오름에서부터 제주의 전통가옥인 초가지붕의 띠(새)와 연료의 공급원으로, 우마의 방목지에서부 터 농경지, 과수원 등으로 활용되어 왔고, 지하수의 함양지역일 뿐만 아니라 인문적, 식물․ 생태적, 지형․지질적, 경관적, 생태관광적, 환경자연적 가치를 지닌 소중한 자연 자산이다.

 

선흘 곶자왈, 선흘1리는 세계자연마을로 지정된 곳이며 동백동산과 백서향, 변산일엽 군락지 일원이 도기년물제10호로 지정되어 있다. 곶자왈 일대는 오랜기간 잘 보존된 숲으로 다양한 종의 동식물이 살고 있다.
아큰다랑쉬 오름

 

금오름
해안가 주로 분포하는 소사나무, 잎끝은 뾰족하고 밑부분은 둥글다 가장자리에는 작고 뾰족한 톱니가 있다. 이 곳은 제주 최대의 소사나무 군락지이다.

 

 

 

 

 

 

 

 

 

 

 

 

 

 

 

 

 

 

 

 

 

 

 

 

 

 

 

 

 

 

 

 

 

 

 

 

 

 

 

 

 

 

 

 

 

 

 

 

 

 

 

 

 

 

 

 

 

 

 

 

 

 

 

 

 

 

 

 

 

 

 

 

 

 

 

 

 

 

 

 

 

 

 

 

 

 

 

 

 

한라산은 제주도의 상징으로 화산활동 초기에는 유동성이 큰 현무암질 용암이 분출하여 전체적으로는 완만한 순상화산체를 이루었고, 그후에는 유동이 작은 조면암, 안산암질 용암이 분출하여 정상부는 경사가 급한 종상화산을 이룬 복합화산이다.

'여행사진 자료 > 지역 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항 환호공원의 랜드마크  (0) 2022.04.20
대구 달성군 사문진(沙門津)역사공원과 송해공원  (0) 2021.12.14
제주 사려니 숲길  (0) 2021.11.20
제주 에코랜드  (0) 2021.11.20
금정산 가을  (0) 2021.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