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는 유네스코 지정 세계자연유산지구이자 세계지질공원이다.
2021년 11월 9일 한라산에 첫눈이 내려, 방문한 11월 19일에도 눈이 쌓여 있다.
제주도의 오름은 신생대 제3기에서 4기에 걸쳐 이루어진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는데 약 368개가 있다. 오름의 어원은 자그마한 산을 말하는 제주도 방언으로서 (분)화구를 갖고 있고, 내용물이 화산쇄설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화산구의 형태를 갖추고 있는 것을 일컫고 있다. 기생화산, 측화산이라고도 한다.
형성과정에서 마그마가 분출되는 환경이 수중환경에서 육상 환경으로 변화하면서 크고 작은, 그러면서도 화산체의 구성물질과 형태가 각각 다른 2개의 화구가 겹쳐서 나타나는 기생화산, 즉 2중식회산도 제주도의 오름에서 찾아볼 수 있어, 이들의 독특하고 색다른 지형경관은 제주의 식생과 어우러져 빼어난 경관미를 자랑한다. 또한 기생화산으로서의 제주의 오름은 개체수가 많을 뿐 아니라 그 생성과정과 형태적 특성을 각각 달리하고 있어 화산지형학적 관점에서도 세계적인 화산의 보고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주의 오름은 화산지형학적으로 중요할 뿐 아니라 역사적, 문화적, 자연경관적으로 보아 중요한 관광 자원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한라산은 제주도의 상징으로 화산활동 초기에는 유동성이 큰 현무암질 용암이 분출하여 전체적으로는 완만한 순상화산체를 이루었고, 그후에는 유동이 작은 조면암, 안산암질 용암이 분출하여 정상부는 경사가 급한 종상화산을 이룬 복합화산이다.
'여행사진 자료 > 지역 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항 환호공원의 랜드마크 (0) | 2022.04.20 |
---|---|
대구 달성군 사문진(沙門津)역사공원과 송해공원 (0) | 2021.12.14 |
제주 사려니 숲길 (0) | 2021.11.20 |
제주 에코랜드 (0) | 2021.11.20 |
금정산 가을 (0) | 2021.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