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포트의 특질이론
성격이란 ?
성격 발달
올포트는 성격의 비연속성을 주장하였다. 즉 출생하여 청소년기까지의 성격과 성인의 성격은 전혀 다르다고 생각하였다.
1) 고유자아의 발달 단계
올포트는 아동기에서 청소년기에 걸친 고유자아의 발달을 일곱단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나이에 따라 전반적인 발달단계를 보면, 1-3단계는 출생하여 3-4세까지에 나타나고, 4-5단계는 4-6세에 나타나며, 6단계는 6-12세에 나타나며, 7단계는 청소년기에 나타난다.
① 1단계: 신체적 자아(bodily self)
이 단계에서 유아는 자신의 존재를 인식하고 자신의 신체와 환경에 있는 대상을 구별하게 된다.
② 2단계: 자아정체감(self-identity)
이 단계는 아이가 정체감의 연속성을 느끼는 시기이다. 즉 아이는 일어나는 많은 변화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같은 사람으로 유지됨을 깨달음으로써 자아 정체감을 갖게 된다.
③ 3단계: 자아존중감(self-esteem)
아이는 이 단계에서 자기의 성취에 대해 자랑스러워하며 자존감을 느낀다. 올포트는 이 단계가 매우 중요하다고 보았다.
④ 4단계: 자아확장(self-extension)
아이는 이 단계에서 주변에 있는 대상과 사람들이 자신의 세계에 속한 일부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⑤ 5단계: 자아상(self-image)
이 단계에서 아이는 자신에 대한 실제적이며 이상회된 이미지를 발달시키켜 자신의 행동이 부모의 기대를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인식하게 된다.
⑥ 6단계: 합리적 적응체로서 자아(sellf as a rational coper)
이 단계는 보통 아이가 초등학교에 다니는 시기에 해당된다. 아이는 일상적인 문제의 해결에 이성과 논리를 적용하기 시작한다.
⑦ 7단계: 고유자아 추구(propriate striving)
공유자아 발달의 마지막 단계는 청소년기에 해당된다. 이 시기에 청소년은 인생의 장기 목표 및 계획을 형성하기 시작한다.
2) 건강한 성인의 성격
첫째, 성숙한 성인은 자기 외의 사람 및 활동에 자아감을 확장한다.
둘째, 성숙한 성인은 친밀감, 애정, 인내를 보이면서 타인과 따뜻하게 관계한다.
셋째, 성숙한 성인은 자기 수용을 보이고 정서적 안전감을 가진다.
넷째, 성숙한 성인은 현실적 지각을 가지며, 개인적 기술을 개발하고, 하는 일에 매진한다.
다섯째, 성숙한 성인은 자기에 대한 이해와 통찰로 유머 감각 및 자기 객관화를 보인다.
여섯째, 성숙한 성인은 미래 목표로 성격을 지향하게 하는 통합된 철학이 있다.
'전문상담 자료 > 전문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tter의 사회적 학습이론 (0) | 2008.07.09 |
---|---|
Aron T.Beck의 인지적 성격이론 (0) | 2008.07.09 |
호나이의 신경증적 성격이론 (0) | 2008.07.07 |
아들러(Alfred Adler)의 개인 심리학 (0) | 2008.07.06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0) | 2008.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