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가), (나)에 공통으로 나타난 내용을 탐구하기 위한 ‘도시’ 단원의 학습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가) 충청남도 00시는 2000~2005년 사이에 10만 명 이상의 인구 증가를 보이면서 50만 급 도시로 부상했다. 그러나 △△동 등 서부 지역에 신 시가지가 건설된 뒤 00역과 옛 시청사가 있던 지역은 급격한 상권 쇠락과 인구 감소를 경험하고 있다. (나) 00광역시의 0항(港)은 2020년까지 복합 기능 지구로 재개발될 예정이다. 이 사업에서 주목되는 것은, 새로운 중심부들의 성장으로 말미암아 상대적인 침체를 보여 온 인근의 시 중심부가 이 사업을 통해 활성화의 계기를 찾을 수 있을지의 여부이다. |
① 시가지 확대에 따른 연담 도시화
② 거주지 교외화와 대도시권의 확대
③ 도시 내부 구조의 변동과 도심 쇠퇴
④ 도시의 무분별한 팽창에 따른 환경 문제
⑤ 도시 간 상호 작용에 따른 도시 체계의 변화
부산 북항 재개발 사업
'지리수업 자료 > 한국지리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난화로 바뀌는 ‘농수산물 지도’ (0) | 2010.10.16 |
---|---|
광주 무등산 주상절리 (0) | 2010.10.15 |
섬진강 수계 지도 (0) | 2010.07.13 |
경제자유구역(FEZ) (0) | 2010.07.08 |
혁신도시 (0) | 2010.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