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원
- 에너지로 가능한 자원을 뜻하며, 열에너지, 빛에너지, 운동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화석연료나 핵분열 및 대체에너지로서 수력발전, 태양에너지, 풍력에너지, 조력에너지, 지열에너지 등을 말함
1차 에너지
- 오랜 세월동안 자연의 역학적인 절차의 반복으로 형성된 천연상태의 가공되지 않은 상태에서 공급되는
에너지로 석탄, 석유, 천연가스, 수력, 원자력, 태양열, 지열 등을 말함
최종 에너지
- 최종 소비부문의 에너지 이용설비에 알맞은 형태로 사용되는 에너지로서, 1차 에너지중 직접 에너지로
사용되는 것은 그 자체, 일정한 전환과정을 거쳐서 다른 형태의 에너지로 전환되는 것은 그 산출물로서, 일명 2차 에너지라고 부름
ㅇ에너지소비의 고급화가 급속히 진행중
- LNG, 원자력 등 고급 청정에너지의 소비점유율은 증가하고, 석유소비 점유율은 점차 하락
* 석유점유율 : ('90)53.8 -> ('01)50.6 -> ('02)49.1 -> ('03)47.6 -> ('04)45.7 -> ('05)44.4 -> ('06)43.6 -> (' 08)4 1.6
ㅇ최종에너지소비 : '90년대 후반 이후 정보통신 등 고부가가치 에너지 저소비 산업의 비중확대로 산업부문 소비 비중이 안정화 되었으나,
- 최근에는 석유화학ㆍ철강 등 소재산업 호황으로 산업부문의 에너지 소비가 강화되면서 최종에너지소비 증가세를 주도
* 산업부문 최종에너지 소비 증가세 : (‘03)1.8 -> (’04)2.4 -> (‘05)1.5 -> (’06)3.0 -> (‘08)2.1
ㅇ 에너지 소비증가율이 높은 원인 :
① (산업부문) 단위부가가치당 에너지소비가 서비스산업보다 3배이상 많은 제조업의 비중이 높고, 석유, 화학 등 에너지다소비형 산업 비중이 높은데 기인
* 제조업 비중(%, '06년) : 한국 29.8, 일본 23.7, 미국 13.6
* 에너지다소비 산업 비중(%, ‘06년) : 한국 26.8, 일본 19.3, 미국 23.0
② (가정.상업부문) 주택 및 가전제품의 대형화 선호와 깨끗하고 편리한 고급에너지로의 전환
③ (수송부문) 중형차 선호, 자가용 보유 증가 및 대중교통 이용 감소
통계표명 : 에너지수급현황
단위 : 백만TOE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1차에너지
계
192.9
198.4
208.6
215.1
220.2
228.6
233.4
236.5
240.8
석탄
42.9
45.7
49.1
51.1
53.1
54.8
56.7
59.7
66.1
석유
100.3
100.4
102.4
102.4
100.6
101.5
101.8
105.5
100.2
LNG
18.9
20.8
23.1
24.2
28.4
30.4
32
34.7
35.7
원자력
27.2
28
29.8
32.4
32.7
36.7
37.2
30.7
32.4
기타
3.6
3.5
4.3
5
5.4
5.3
5.7
5.9
6.4
최종에너지
계
149.9
153
160.5
164
166
170.9
173.6
181.4
182.6
산업부문
83.9
85.2
89.2
90.8
93
94.4
97.2
104.3
106.5
수송부문
30.9
31.9
33.8
34.6
34.6
35.6
36.5
37.1
35.8
가정.상업
32.4
32.9
34.3
35
34.8
36.9
36
35.9
36.2
공공.기타
2.6
3
3.2
3.6
3.6
4.1
3.8
4.1
4.1
출처 : 에너지경제연구원「에너지통계연보」
'지리수업 자료 > 한국지리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원]에너지원별 발전설비, 발전량(2009) (0) | 2010.03.25 |
---|---|
[자원]석탄 산업 현황 (0) | 2010.03.25 |
[공업]우리나라 산업구조의 변화 (0) | 2010.03.25 |
[자원]에너지 공급구조 (0) | 2010.03.25 |
[자원]해외 자원 자주율 (0) | 2010.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