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수업 자료/한국지리 자료

[인구]2011 시도별 인구 피라미드

지리사랑 2011. 5. 26. 10:53

 

             

                                                                                                                               <2009 시도별 인구구성비율 및 총부양비>

시도별 인구 피라미드.hwp

 

1) 유년인구(0~14세)


 시도별 유년인구(0~14세)는 모든 시도에서 낮아질 전망


0~14세 전국 유년인구 구성비는 출생아수 감소로 인하여 2005년 16.2%에서 점차 낮아져 2015년 13.9%, 2030년 11.2%에 이를 전망


 ○ 시도별 유년인구(0~14세)는 지속적인 출생아수 감소로 모든 시도에서 낮아질 전망


   - 2005년 유년인구 구성비가 높은 지역은 울산(22.3%), 제주(22.1%), 광주(21.6%)순으로 전국 평균보다 높으며, 낮은 지역은 서울(16.7%), 부산(16.7%) , 경북(17.8%)등으로 전국 평균보다 낮음

 

2) 생산가능인구(15~64세)


2030년 생산가능인구 수도권, 대전, 광주 및 울산지역만 전국수준 보다  높게 유지될 전망


 ○ 전국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2005년 총인구 중 71.7%이며, 향후 2015년 73.2%를 차지한 후 점차 낮아져 2030년 64.7%에 이를 전망


시도별로는 2005년 서울(76.2%), 부산(74.9%), 대도시(광주 71.2% 제외)에서 전국수준 71. 7% 보높은 반면, 전남(64.1%), 충남(66.9%) 등은 낮게 나타남

 

 3) 노령인구(65세 이상)

 

  2015년 경기를 제외한  8개도의  65세이상 노령인구 비율 14%를 초과

 

 


전국 노령인구(65세 이상)는 2005년 총인구 중 9.1%이나 출생아수의 지속적인 감소와 평균수명의 연장에 따라 2015년 12.9%, 2030년에는 24.1%로 증가할 전망


시도별로는 2 0  0  5년   현재 서울(7.1%), 울산( 5. .  2 %) 등 대도시와 경기도의 노령인구 비가   국수준 9.1%보다 낮고,  전남(17.5%) 등 8개도에서 높게 나타

    - 특히    충남, 전북, 전남, 경북은 14%를 넘어 고령사회에    도달된   것으로    나타남

시도별 인구 피라미드.hwp
0.49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