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상담 자료/전문상담
Weiner의 귀인 이론
지리사랑
2009. 6. 3. 10:48
귀인이론(Attribution Theory)
1. 귀인 이론이란
(1) 귀인 이론의 등장 배경
1950년대를 기점으로 환경에 의한 인간의 행동 변화 (행동주의적 관점) 가 급속히 악화되고 인지를 중심으로 한 인간행위(인지 주의적 관점)를 설명하려는 시도로 등장했다. 인간 행동의 원인은 개인의 특성, 환경이 아닌 자신이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는 관점에서 출발하고 있다.
(2) 귀인 이론의 정의
학생들은 어떤 일에 성공 했을 때 혹은 실패했을 때 그 원인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 가? 성공이나 실패의 원인이 자신의 노력이나 능력 등의 내적 원인이라고 생각하는 경우와 우연한 결과나 운 등의 외적 원인이라고 생각하는 경우는 후속 행동에 차이를 가져온다. 이처럼 성공이나 실패에 대하여 자신의 행동에 대한 원인을 귀속시키는 경향성에 대한 이론이 귀인이론이다. 귀인이론의 대표적 학자인 B. Weiner(1979,1980)에 따르면 귀인 이론이란 학생들이 그들의 성공과 실패를 어떻게 설명하는가에 대해 체계자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3) 귀인 이론의 기본 가정
그는 사람들이 자신의 성공과 실패의 원인을 알고자 하는 특성이 있다고 가정한다. (Weiner,1986)
귀인이론.hwp
0.04MB